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표 가운데정렬
- 'Destination Folder' cannot contain non-ascii characters (special characters or diacritics). Please choose another location.
- LG 그램 온도
- 표 가운데정렬방법
- Image Steganography
- 그램 온도 낮추기
- 리눅스 권한설정 리눅스 유마스크
- 정보보안용어
- 티스토리표가운데
- 노트북CPU견적
- Error : Due to incompatibility with several Python libraries
- 노트북CPU성능
- LG 컨트롤 센터
- linux 권한설정
- zsteg
- Forensically
- 스테가노그래피 포렌식 툴
- 스테가노그래피 툴
- LG CONTORL CENTER
- 노트북CPU성능비교
- chmod 설정
- chmod umask
- 유마스크
- LG 컨트롤 센터 온도
- 아나콘다 install
- 그램 온도
- 리눅스 휴지통 비우기
- 티스토리가운데정렬
- 리눅스 디스크 다 참
- umask and 연산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4)
공대생의 에러일기

Source - 출발지 Destination - 도착지 출발지나 도착지가 지정 IP인 패킷만 잡을 때 // 3 WAY HAND SHACKING 과정을 전부 보고싶을 때 ip.addr==192.168.0.15 출발지가 지정 IP인 패킷만 잡고싶을 때 ip.src==192.168.0.15 + 출발지가 지정 IP주소가 아닌 패킷만 검색 ip.src!=192.168.0.15 그 외 eth.addr==00:01:02:03:04:05 //출발지나 도착지 MAC 주소로 검색 tcp.port==80 // TCP통신 중 출발지나 도착지 포트 번호가 80인 패킷만 검색 eth.dst==00:01:02:03:04:05 // 도착지 MAC주소 검색 추가로 비교 연산자나 논리 표현도 가능하다고 한다. TCP > 10 and T..

패킷 트레이서에서 PC2와 PC0이 통신이 되는지 알고 싶을 때 realtime과 simulatio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 통신이 되는지만 알고 싶으면 realtime을 씁니다. fail, success가 바로바로 뜨기 때문이죠. simulation은 통신이 안될 때 어디서 통신이 안되는건지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패킷의 이동 경로를 보여줍니다. realtime은 편지봉투 모양만 누르면 확인 가능 하니 사용법이랄건 없구 simulation 사용법알려드리겠습니다. PC2에서 PC0으로 패킷을 보낼때(통신이 가능한지 알고 싶을 때) 1. 오른쪽에서 편지봉투같이 생긴걸(Simple PDU) 눌러주고 2. 보내는 PC클릭 후 받는 PC 클릭 realtime되어있던걸 그림을 눌러서 simulas..

UTP 케이블 종류에는 다이렉트 케이블과 크로스오버 케이블이 있다. 모든 통신 장비에는 송신단(TX)과 수신단(RX)이 있다. 핀은 주,초,파,갈색 핀이 각각 2개씩 8개 있는데 주황색 핀 2개 - 송신단 초록색 핀 2개 - 수신단 파랑, 갈색은 예비용이다.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에선 주로 다이렉트 케이블을 본다고 한다. 다이렉트 케이블 이기종 간의 장비를 연결할 때 사용. 컴퓨터 - 허브/스위치 라우터 - 허브/스위치 핀번호 1 2 3 4 5 6 7 8 568-B 빗금 주황 주황 빗금 녹색 파랑 빗금 파랑 녹색 빗금 갈색 갈색 크로스오버 케이블 같은 기종의 장비 연결 시 사용. 컴퓨터 - 컴퓨터 스위치 - 스위치 *컴퓨터 - 스위치(예외) 핀번호 1 2 3 4 5 6 7 8 568-B 빗금 주황 ..

컴퓨터는 입력장치에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형태로 받아서 주기억, 보조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필요시에 CPU로 불러서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위에 단어들을 몰라도 괜찮다. 아래에서 같이 다뤄보자. 우선 이 장치들이 뭔지 알기 전에 컴퓨터 시스템이 무엇으로 이루어지는지 알아보자. 컴퓨터 시스템의 요소 하드웨어 ( HW ) - 물리적 기계 장치. 내용을 변경하고 수정 가능. 소프트웨어 ( SW ) - 하드웨어를 동작하게 하는 명령어의 집합. 쉽게 말해 그냥 컴퓨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들. 수정 가능. 펌웨어 ( FW ) - HW, SW의 중간 성격.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를 내장시켜서 수정이 불가능하다. 하드웨어 : [입력장치, 중앙처리장치(CPU), 출력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기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