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생의 에러일기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조 (하드웨어 - 입력장치, CPU, 기억장치, 출력장치) 본문

네트워크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조 (하드웨어 - 입력장치, CPU, 기억장치, 출력장치)

냥늉냥 2021. 1. 28. 02:17
반응형

 

 

컴퓨터는 입력장치에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형태로 받아서 주기억, 보조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필요시에 CPU로 불러서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위에 단어들을 몰라도 괜찮다. 아래에서 같이 다뤄보자.

우선 이 장치들이 뭔지 알기 전에 컴퓨터 시스템이 무엇으로 이루어지는지 알아보자.

 

 

 

  • 컴퓨터 시스템의 요소
  1. 하드웨어 ( HW ) - 물리적 기계 장치. 내용을 변경하고 수정 가능.
  2. 소프트웨어 ( SW ) - 하드웨어를 동작하게 하는 명령어의 집합. 
                              쉽게 말해 그냥 컴퓨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들. 수정 가능.
  3. 펌웨어 ( FW ) - HW, SW의 중간 성격.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를 내장시켜서 수정이 불가능하다.

 

 

하드웨어 : [입력장치, 중앙처리장치(CPU), 출력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기억장치)

 

CPU = 연산장치 +제어장치

연산 장치 -> 산술, 논리 연산

제어 장치 -> CPU와 기억 장치 사이의 명령과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

기억 장치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주기억장치 = RAM+ROM
                  중앙처리장치의 데이터를 저장

 

RAM = Random Access Memory = 읽고 쓸 수 있으며 전원공급이 없으면 내용이 삭제됨 (휘발성)

ROM = Read Only Memory = 읽기만 가능하며 전원 공급 없이도 내용이 보존됨 (비휘발성)

 

보조기억장치 = 비휘발성 & 대용량. 
                     ex) 하드디스크, USB, SSD ...

 

 

 

 

 

레지스터 = 소량의 처리중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해두는 고속의 전용 영역.

                작업에 필요한 자료가 이곳에 저장되어야 CPU가 작업할 수 있다.

 

 

 

 

  • 기억장치 계층구조에서의 자료 흐름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