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리눅스 휴지통 비우기
- 리눅스 권한설정 리눅스 유마스크
- linux 권한설정
- LG 컨트롤 센터 온도
- 티스토리가운데정렬
- LG 컨트롤 센터
- 노트북CPU성능비교
- 리눅스 디스크 다 참
- 노트북CPU성능
- 그램 온도
- 티스토리표가운데
- LG CONTORL CENTER
- 'Destination Folder' cannot contain non-ascii characters (special characters or diacritics). Please choose another location.
- 표 가운데정렬방법
- Forensically
- 스테가노그래피 툴
- Image Steganography
- zsteg
- 유마스크
- chmod umask
- Error : Due to incompatibility with several Python libraries
- 스테가노그래피 포렌식 툴
- 정보보안용어
- 그램 온도 낮추기
- LG 그램 온도
- umask and 연산
- chmod 설정
- 노트북CPU견적
- 표 가운데정렬
- 아나콘다 install
Archives
- Today
- Total
공대생의 에러일기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조 (하드웨어 - 입력장치, CPU, 기억장치, 출력장치) 본문
반응형
컴퓨터는 입력장치에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형태로 받아서 주기억, 보조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필요시에 CPU로 불러서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위에 단어들을 몰라도 괜찮다. 아래에서 같이 다뤄보자.
우선 이 장치들이 뭔지 알기 전에 컴퓨터 시스템이 무엇으로 이루어지는지 알아보자.
- 컴퓨터 시스템의 요소
- 하드웨어 ( HW ) - 물리적 기계 장치. 내용을 변경하고 수정 가능.
- 소프트웨어 ( SW ) - 하드웨어를 동작하게 하는 명령어의 집합.
쉽게 말해 그냥 컴퓨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들. 수정 가능. - 펌웨어 ( FW ) - HW, SW의 중간 성격.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를 내장시켜서 수정이 불가능하다.
하드웨어 : [입력장치, 중앙처리장치(CPU), 출력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기억장치)
CPU = 연산장치 +제어장치
연산 장치 -> 산술, 논리 연산
제어 장치 -> CPU와 기억 장치 사이의 명령과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
기억 장치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주기억장치 = RAM+ROM
중앙처리장치의 데이터를 저장
RAM = Random Access Memory = 읽고 쓸 수 있으며 전원공급이 없으면 내용이 삭제됨 (휘발성)
ROM = Read Only Memory = 읽기만 가능하며 전원 공급 없이도 내용이 보존됨 (비휘발성)
보조기억장치 = 비휘발성 & 대용량.
ex) 하드디스크, USB, SSD ...
레지스터 = 소량의 처리중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해두는 고속의 전용 영역.
작업에 필요한 자료가 이곳에 저장되어야 CPU가 작업할 수 있다.
- 기억장치 계층구조에서의 자료 흐름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reshark 사용법 - 기본 필터링 검색식 (0) | 2022.11.26 |
---|---|
패킷 트레이서 - 리얼 타임/시뮬레이션 사용법 (1) | 2021.04.11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UTP 케이블 제작 방법 (0) | 2021.02.0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