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유마스크
- 리눅스 권한설정 리눅스 유마스크
- zsteg
- LG 컨트롤 센터 온도
- 티스토리가운데정렬
- 표 가운데정렬방법
- 리눅스 휴지통 비우기
- 그램 온도 낮추기
- 정보보안용어
- chmod 설정
- 스테가노그래피 툴
- Image Steganography
- 아나콘다 install
- LG 컨트롤 센터
- chmod umask
- 'Destination Folder' cannot contain non-ascii characters (special characters or diacritics). Please choose another location.
- LG CONTORL CENTER
- 표 가운데정렬
- 노트북CPU성능비교
- 티스토리표가운데
- LG 그램 온도
- umask and 연산
- linux 권한설정
- 스테가노그래피 포렌식 툴
- 리눅스 디스크 다 참
- 노트북CPU견적
- Forensically
- 그램 온도
- Error : Due to incompatibility with several Python libraries
- 노트북CPU성능
- Today
- Total
목록Web (4)
공대생의 에러일기

티스토리에서 표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왼쪽정렬이다. 가운데로 따로 옮길 수 있는 UI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HTML로 수정해야 한다. 1. 테이블 생성 2. 페이지 우측 상단에 HTML 모드를 선택 3. 코드에서 ... 태그 부분을 찾는다 4. 밑의 이미지 처럼 위아래로 ... 로 감싸주고 저장 테스트 5. 끝
보통 button에 속성을 주게 되면 가로, 세로, margin 혹은 padding을 주게 됩니다. * margin - (버튼) 바깥으로 여백 주기 padding - (버튼) 안으로 여백 주기 //버튼 속성 width :300px; //가로 //height : 100px; //세로 margin : auto; //좌우 여백 동일하게 일반적인 코드는 이렇지만 이 코드를 사용해도 버튼이 안움직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왜나면 TEXT 와 BUTTON 을 따로 보기 때문에 버튼 속성에 auto를 해도 안옮겨지면 글속성 형태인 것입니다. 따라서 text 속성을 강제로 button 형식으로 바꿔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text 속성을 button 속성으로 바꾸는 것은 간단합니다. display : block; //..

css에서 뒷배경을 설정해줄 때는 background-size 로 설정을 해줍니다 이때 배경을 채우는 속성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contain과 cover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원본이 아래 사진과 같다면 # contain 이미지가 잘리거나 찌그러지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제일 크게 설정 (이미지가 원본 그대로 살아있으며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이미지가 반복됩니다.) # cover 이미지가 찌그러지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제일 크게 설정 (이미지를 잘라서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알고싶다면 링크 참조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CSS/background-size background-size - CSS: Cascading Style Sheet..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포트 80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HTTP는 TCP/IP기반 회선(세션) 연결, 데이터 전송, 회선 종결의 절차를 거친다. 다만, 기존 TCP 프로토콜과는 다르게 세션을 계속 유지하지 않고 무상태로(Stateless)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한 후 바로 끊어버린다. 즉,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각각의 데이터 요청이(이전 데이터 요청과 다음 데이터 요청) 서로 독립적이다. 요청과 응답이 끝나면 바로 서버-클라이언트 연결이 끊기는걸 무상태(stateless)라 하는데, 이 때문에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쿠키, 세션 같은 기술을 같이 사용한다. 깨알지식 HTTP 또는 HTTPS는 URI의 구성 요소 중 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