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생의 에러일기

정처기 SQL - 제약조건(CONSTRAINT) DOMAIN, TABLE 차이 - VALUE IN / VALUE 생략, 제약조건 생략 본문

DB

정처기 SQL - 제약조건(CONSTRAINT) DOMAIN, TABLE 차이 - VALUE IN / VALUE 생략, 제약조건 생략

냥늉냥 2022. 7. 4. 05:07
반응형

정처기 공부를 하다가 테이블 정의에서 헷갈리는 부분

제약조건(CONSTRAINT) DOMAIN, TABLE 차이 - VALUE IN / VALUE 생략, 제약조건 생략


CREATE DOMAIN에서는 제약조건명 CHECK(VALUE IN())

CREATE TABLE에서는 제약조건명 CHECK() 인데

많이 헷갈렸지만 이렇게 고정이 된 것이고, 도메인에서만 VALUE IN을 쓰는거구나 하고 넘어갔었는데

TABLE 정의때 IN을 쓰는걸 보고 많이 혼란스러웠다.

 

VALUE는 필드를 적을 수 없거나, 생략 가능할 때 사용한다. IN은 거저 필드에 들어가는 값을 위해 사용될 뿐이다.즉 VALUE IN 이라는 구문이 세트가 아니라는 것.

CREATE DOMAIN -  CONSTRAINT 제약조건명 CHECK(VALUE IN(값 1, 값 2...))

VALUE를 쓰는건 도메인에선 필드명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고 IN은 값을 나열하기 위함일 뿐이다.

 

 

CREATE TABLE - CONSTRAINT 제약조건명 CHECK(필드명(조건식))

여러 필드명이 존재하는 테이블에서 하나의 필드를 특정해야 하기 때문에 VALUE를 쓰지 않고 해당 필드명을 사용해주는 것이다.

 

 

그 외에도 VALUE나 필드명 없이 IN이 사용되는 경우는 WHERE문 정도가 있다.


또 헷갈리는 부분

 

DOMAIN은 

[CONSTRAINT 제약조건명 CHECK (범위값)]; 이고

 

TABLE은

[CONSTRAINT 제약조건명] [CHECK(조건식)]; 이다.

 

별 차이 없어보이지만 이 차이를 모르고 빈칸문제를 만나버리면 크게 당활할 수 있다.

 

DOMAIN은 제약조건명과 CHECK로 범위값을 한번에 설정하거나 생략하지만

TABLE은 제약조건명 따로 CHECK 조건식 따로다.

즉 제약조건명을 적지 않고 CHECK 조건식만 쓸 수 있다.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처기 SQL - GRANT OPTION FOR, CASCADE 동시 사용 문제  (0) 2022.07.08
JDBC와 DBCP란?  (0) 2021.03.05
Comments